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타46

심리학의 자료정리 방법에 대해서 알아봐요. 심리학 연구에서 수집에 의해 얻어진 자료는 과학적인 방법으로 정리하기 위하여 측정치로 얻어지는 것이 보통입니다. 측정치의 종류와 통계적인 자료 정리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측정치의 종류 측정이란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을 척도로 재는 것을 뜻합니다. 따라서 척동의 성질에 따라 측정치의 특성이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척도의 종류는 다음과 같이 4가지가 있습니다. 명명 척도 서열 척도 등간 척도 비율 척도 명명 척도 명명 척도는 양적인 차이가 아니라 질적인 차이에 의하여 유목으로 나누어 숫자를 배정하는 척도입니다. 예컨대 자료를 컴퓨터에 입력할 때 남자를 '1', 여자를 '2'라고 하는데 이것은 명명 척도로서 분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서열 척도 이 척도는 단순히 유목으로 구별하는 것이 아니라 유목 사이의 양.. 2022. 5. 5.
심리학의 연구방법에 대해서 알아봐요. 심리학은 '인간을 이해하기 위하여 행동과 정신 과정을 연구하는 과학적인 학문'이라고 정의합니다. 과학적이라는 의미는 연구대상에서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는 방법이 과학적이라는 의미입니다. 인간에 관한 단순한 추측이나 막연한 상식은 과학적 방법으로 검증되지 않으면 심리학적 지식이 될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과학적 방법이란 무엇이며, 심리학에서는 어떤 과학적인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는가를 살펴보겠습니다. 과학적 방법의 특징 첫째, 과학적 방법은 객관성이 있어야 합니다. 객관성이란 똑같은 조건에서는 누구나 똑같은 지식을 얻을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이죠. 즉 같은 조건의 절차에 따라 연구되었을 때 그 결과가 서로 같게 나왔다면 이것은 객관성이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둘째, 과학적인 방법은 그 대상의 .. 2022. 5. 5.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에 대해서 알아봐요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은 4세부터 성인기까지 도덕적 사고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의 이론의 가장 큰 특징은 도덕성 발달은 인지발달 수준에 따라 그 단계가 결정된다는 것입니다. 그는 도덕성 발달을 3가지 수준으로 제시하는데, 이 3가지의 각 수준은 2개의 구체적 도덕성 단계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전 관습 수준(4~10세) 관습(10~13세) 후 관습 수준(13세 이상) 전 관습 수준 도덕성 전 관습 수준의 도덕적 사고발달은 인간이 경험하는 행동의 결과에 집중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 수준의 도덕성은 행동 원인의 선악보다는 행동의 결과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 수준은 벌과 복종, 욕구 충족이라는 2개의 단계로 구성됩니다. 욕구 충족 단계에서 개인은 여전히 도덕적 결정을 할 때 행위의 결과에 의해 좌우되지만,.. 2022. 5. 4.
아들러의 개인심리이론에 대해서 알아봐요 신프로이트 학파 중의 하나인 아들러는 초창기에 프로이트와 함께 일했으나 후에는 프로이트와 결별하고 "개인심리학(individual psychology)"을 발전시켰습니다. 아들러의 개인 심리 이론의 기본 개념은 다음과 같습니다. 생활양식 사람들은 자신에게 의미를 주는 삶의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 각기 독특한 생활양식을 발달시킵니다. 생활양식은 한 개인만의 독특한 특징으로 한 개인이 어떻게 그의 인생의 장애물을 극복하고, 문제의 해결점을 찾아내며, 어떠한 방법으로 목표를 추구하는지에 대한 방식을 결정해줍니다. 개인의 독특한 생활양식은 그가 생각하고 느끼고 행하는 모든 것의 기반이 됩니다. 일단 생활양식이 형성되면, 이것은 외부세계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를 결정할 뿐 아니라 기본 성격구조를 일생에 걸쳐 일관성 .. 2022. 5. 4.
반응형